김종간  향토사학자
김종간 향토사학자

작가 유득공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다. 영조 25년 1749년에 태어났으나 죽은 해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관은 문화, 호는 영재(冷齋)이다.
영조때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시문에 뛰어나 1779년(정조3년)에 규장각 검서로 활약하였다. 제천, 포천, 양근(경기도 양평의옛 지명) 등의 군수를 지냈으며 말년에 풍천부사를 지냈다. 특히4천년에 걸쳐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의 21개 도읍지의 전도(奠2)와 번영을 읊은 43편의 회고시가 있다.

무제(無題, 가락고도에서 부른 노래) - 김학순金學淳

東風歇馬問城門 동풍헐마문성문
駕洛遺墟古俗存 가락유허고속존
近海村居多竹樹 근해촌거다죽수
環洲島嶼基塩盆 환주도서진염분

歸雲查查家千里 귀운묘묘가천리
芳草要要雨一番 방초처처우일번
經歲南遊何所得 경세남유하소득
湖山到處解方言 호산도처해방언

동풍에 말(馬) 멈추고 성문을 찾으니
가락국 옛 터에 오랜 풍속 남았구나.
바다 가까운 마을에 대나무가 많고
물을 두른 섬에는 소금동이 많다.

돌아가는 구름 아득히 집은 천리요
꽃 같은 풀은 무성히 비를 맞는다.
세월을 보내며 남쪽에 노닐어 무엇을 얻었는가
산수 이르는 곳마다 사투리만 배웠구나.

김종간의 미친美親 소리 예순 두 번째

작가 김학순은 영조 43년~헌종 11년의 조선 후기 문신이요 학자였다. 본은 안동이며 정조 22년(1798) 사마시에 합격하였고1805년(순조5) 증광시에 장원급제하고 전시(殿試)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직을 거쳐 홍문관 교리, 영남어사, 순천부사 등을 역임하였고 공청도관찰사(公淸道觀察使), 도승지, 1832년 공조판서를 지냈다. 40여 년간 주요 관직을 거치며 왕의 자문으로 정사에 깊이 관여하였다. 『순조실록』과 『헌종실록』은 “청렴과 근면으로 이름을 높였다.”고 적고 있다.
벼슬을 하면서 왕의 최측근에서 정사에 깊이 관여하였음에도 청렴하고 근면한 관리로 사가(史家)들이 평가하고 기록하여 후세에 전해진 인물이 '김해의 노래」에서 김해의 특산품 소금을 예찬했음에 필자의 가슴은 뜨거워진다.

무제 1(無題 1, 가락고도의 노래) - 권 복權鎭

官閒無事罷朝衙 관한무사파조아
晚上南樓物色嘉 만상남루물색가
雲屏屛環濃活畵 운수병환농활화
水田棋錯漾紋羅 수전기착양문라

鳥蹄故國千年郭 조제고국천년곽
樹老遺墟百姓家 수로유허백성가
幸我生逢堯舜世 행제상봉요순세
海東歌頌不揚波 해동가송불양파

관청 한가하고 일 없어 아침에 관아를 나와
늦게 남쪽 누각 오르니 물색이 아름답구나.
구름 산봉우리 병풍처럼 둘러 살아있는 그림이요.
무논은 바둑판처럼 물결이 무늬를 만든다.

저작권자 © 김해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