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간

향토사학자

 

이어서 계속>>>

작가 허경윤은 『읍지』가 전하기를 계유년에 태어났으며 7세에 참봉공에게 사람의 도리를 묻고 스승에게 배울 때 더욱 진취가 있었다고 한다. 임진년에 왜구가 파헤친 수로왕릉 복구를 위해 장사 100여명을 모았다. 학문이 높아 명성과 영예가 드러나 나라에서 예빈시직장을 제수했으나 나아지지 않았다. 남명 조선생의 신산서원이 왜구에게 헐리자 이 곳 역시 복구하였다. 1822년에 서원을 세웠는데 구천이며 상동면에 있다.

 

근차판상운 - 배 전

 

도술창창접대선

오능위불화위선

야정해도삼만리

학귀화표일천년

 

공산약기증림우

고원종성소전연

번뇌장증성저사

백두여설사유연

 

도솔은 푸르디 푸르러 마주한 산 아름다워

깨달으면 부처가 되고 화하면 신선되네.

고요한 밤에 파도는 삼만리를 치고

학은 화표에 천년만에 돌아오네.

 

깊은 산 약냄새 비를 타고 숲에 풍기고

고찰의 종소리 흩어지는 안개 속으로 사라지네.

번뇌가 생각 가로막히니 무슨 일이 되겠는가

백발이 눈 같지만 생각만은 여유롭다.

 

근차판상운 - 배재민

 

산대호미경계선

누대청정합거선

나한유신리왕겁

낙왕유적동경년

 

종모수양중야월

범성요요상방년

시래생학용하처

기향송단의숙연

 

푸른 산 맑은 물은 미인의 그린 눈썹같이 아름답고 선명한데

다락과 정자는 청정하여 신선도 함께 살만 하구나

나한 모습 그려져 있으나 이 세상 떠난 지 오래려니

수로왕 남긴 자취 오랜 세월에도 살아있네

 

한밤의 종소리는 달 속으로 널리 퍼지고

염불소리는 안개 위에 서린 듯 은은하기만 하네

때가 되면 생학소리 어디에서 들려올까.

일어나 솔밭을 거니는 내 마음 숙연해진다.

 

작가 배 전은「읍지」에 많은 시를 남겼으며 배병민은 배 전의 양아들로 전해지고 있다.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김해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